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**BW(Bond with Warrant, 신주인수권부사채)**는
    ‘채권’에 **신주를 인수할 수 있는 권리(워런트)**를 붙여서 발행하는 금융상품입니다.
    투자자는 이자를 받으면서, 특정 조건 하에 새로운 주식을 정해진 가격에 살 수 있는 옵션을 가집니다.
    주가가 오르면 주식을 싸게 사서 수익을 얻고, 주가가 오르지 않아도 채권 이자를 받을 수 있어 투자자에게 매우 유리한 구조입니다.

     

    신주인수권부사채
    신주인수권부사채

     


    1. BW의 기본 구조

    BW는 다음 두 요소로 구성됩니다.

    • 채권(Bond): 일정 기간 동안 정해진 이자를 받고, 만기에는 원금을 돌려받는 채권
    • 신주인수권(Warrant): 특정 가격에 주식을 인수할 수 있는 권리

    두 요소는 서로 분리될 수 있고, 독립적으로 매매 가능합니다.
    이게 CB(전환사채)와의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.


    2. 실제 예시로 보는 BW 투자 구조

    조건

    • 회사: 스타트업 A
    • BW 발행 총액: 10억 원
    • 채권 이자율: 연 3%
    • 워런트 조건: 주당 5,000원에 200,000주 인수 가능
    • 워런트 행사 기간: 발행 후 1년 ~ 5년 이내
    • 워런트 분리 가능: 발행 후 6개월 후부터 분리 매매 가능

    시나리오 1: 주가 상승

    • 1년 뒤 주가가 10,000원으로 상승
    • 투자자는 워런트를 행사해 주당 5,000원에 200,000주 인수
    • 시가 기준 주식 가치는 20억 원 → 매입가는 10억 원
    • 주식 수익: 10억 원 차익
    • 채권 이자: 연 3%로 1년간 3,000만 원 수령
    • 총 수익: 10억 + 3,000만 원

    시나리오 2: 주가 하락

    • 주가가 3,000원으로 하락
    • 워런트는 행사하지 않음 → 워런트 가치 0원
    • 채권은 그대로 보유 → 만기까지 연 3% 이자 수령
    • 3년 후 원금 10억 원 회수
    • 총 수익: 3년 이자 9,000만 원, 원금 회수

    3. BW의 장점과 활용 방식

    투자자 입장

    • 주가 상승 시 워런트 행사로 고수익 가능
    • 주가가 오르지 않아도 이자 수령 + 원금 회수 가능
    • 워런트는 분리 매매 가능, 유동성 확보
    • 주식과 채권을 별도로 운용할 수 있는 유연한 구조

    기업 입장

    • 채권을 통해 자금을 확보하면서도
      주식 희석을 나중으로 미룰 수 있음
    • 워런트가 행사되면 추가 자금 유입 + 자본 확충 가능
    • 투자자에게 매력적 조건 제공 가능 (리스크 분산)

    4. 리픽싱 조건도 포함 가능

    BW에도 CB처럼 리픽싱 조항이 붙을 수 있습니다.

    예시

    • 최초 인수가액: 5,000원
    • 리픽싱 조건: 주가 하락 시 인수가액을 70%까지 조정 가능
    • 하한선: 3,500원

    → 주가가 3,000원까지 떨어지면 인수가액이 3,500원으로 조정
    → 투자자는 더 많은 주식 확보 가능
    → 기업은 더 많은 지분이 희석됨


    5. BW 관련 실제 사용 사례

    • 대기업 계열사 M&A 시: 미래 기업 가치 상승이 예상될 때, 투자자는 BW 형태로 투자하여 주가가 오르면 주식으로 전환하거나 인수
    • 스타트업 후속 투자 조건: IR에서 "이번 라운드는 BW 형태로 10억 유치합니다. 리픽싱은 80%까지, 워런트는 분리 가능" 등으로 제시
    • 유동성 있는 투자처 확보: 장내에 상장된 기업의 BW 워런트를 장외에서 저가 매입 후 주가 상승 시 수익 실현

    마무리

    BW는 채권의 안정성과 주식의 수익성을 동시에 노릴 수 있는 하이브리드 투자 수단입니다.
    워런트가 분리 가능하다는 점에서 CB와 가장 큰 차이가 있으며,
    리픽싱 조항이 추가되면 투자자 보호 기능까지 강화됩니다.
    기업 입장에서도 자본유치와 지분 희석 시점을 분리할 수 있어, 자금 전략을 유연하게 설계할 수 있습니다.